하반기 골디락스 전망 증가, 과연 실제로도 그럴까
골디락스를 전망하는 시장 리세션을 걱정하던 금융시장은 이제 소프트랜딩을 확실시하며 마치 경제가 더 좋아질 것마냥 환호하고 있다. 그러나 고용에서는 겉보기와는 달리 민간, 서비스부문의 부진이 확인되며 소비는 불안한데 재정지출과 민간투자가 경제를 이끈 것이 확인된다. 미국이 경기침체에 들어가지는 않더라도 경기모멘텀은 둔화될 것으로 보이는데 중국과 유럽의 회복은 아직 멀어 보인다. 골디락스에 대한 의구심 물가 안정에도 고용지표는 나쁘지 않았으며 2분기 GDP는 특히 강력했는데, GDP Now 추정치가 낮은 컨센서스를 크게 앞서나가더니 결국 2.4%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투자와 정부지출이 2분기 성장을 이끄는 와중에 소비마저 나쁘지 않았다. 경기는 호황이고 고용은 괜찮은데 물가는 안정되며 금리인상이 종결되면 주식은 달려나가게 마련이다. 하반기 증시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시장의 기대에 대한 의구심은 남아있다. 하반기의 미국 경기 모멘텀이 상반기보다 좋기는 어려워 보이고 중국과 유럽 경기의 회복은 쉽지 않아 보이는데, 증시는 싸지 않고 금리는 낮지 않다. 상반기 미국 경제가 강력했던 것은 지금까지 재정지출, 초과저축, 서비스 수요에 의한 것으로, 더 좋아진다기보다는 고금리에도 지금까지 강세가 지지된 것으로 이해해야 하겠다. 고용이 과연 건실한가 골디락스 내러티브의 한 축은 안정적인 고용이 지지하고 있다. 6월 비농업 고용자수는 21만명 증가해 시장 예상치를 다소 밑돌았지만 올 상반기 내내 준수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실업률도 3% 중후반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임금 상승도 지속되고 있다. 구인 수요가 노동 공급보다 높은 상황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총 고용자 수는 코로나 이전을 돌파해 추가 상승 여력은 제한되는 가운데, 올해의 고용 증가는 대부분 정부 직접고용, 교육/의료, 건설 등 정부지출이나 사회복지와 관련된 부분에서 발생했고 그 외 부문은 감소 추세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