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7월 BOJ인 게시물 표시

7월 BOJ YCC 정책 사실상 완화, 엔화 향방은

이미지
7월 BOJ 리뷰 지난주 금요일 BOJ는 7월 통화정책회의를 통해 장단기 금리 타겟을 모두 유지했다. 시장이 가장 주목했단 10년물 국채 금리 변동 허용 폭도 0.5%를 유지했다. 하지만 10년물 국채 금리 변동 범위를 1%까지 열어둔다는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조치가 발표 되었다.  BOJ는 금번 조치가 YCC의 유연성을 높이는 완화 정책의 일부라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 4월 우에다 총재가 통화정책 검토 기한을 12~18개월로 밝힌 바 있는 만큼 시장이 이번 조치를 향후 YCC 폐지 수순으로 받아들이기에 충분했다. 그럼에도 완화기조 유지 다만, 향후 일본의 10년물 국채 금리가 1% 부근에서 등락할 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지난해 12월처럼 변동 폭 확대 결정을 내리지 않고 유연함만을 강조한 것은 시장 충격 방지 목적도 있었겠지만 YCC에 대한 일본은행의 의지이기도 하다.  BOJ 결과 발표 전에 공표된 도쿄 7월 CPI는 헤드라인/근원 모두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그럼에도 BOJ는 다음 회게연도 물가 전망치를 하향조정했으며 내년~내후년 물가 경로가 계속해서 목표치인 2%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했기 때문이다. 물가에 대한 우려가 크지 않다는 것이다 . 나아가 기자회견에서 우에다는 10년물 국채 금리가 1%까지 상승할 가능성은 낮고, 마이너스 금리를 인상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밝혔다. 물론 최근 뚜렷한 물가 상승압력을 이번 회계연도 물가 전망치의 큰 폭 상향조정과 10년물 국채 금리 변동 허용 폭에 유연함을 가미한 배경으로 제시했다. YCC 정책 수정 진짜 이유 일본은행은 YCC 정책에 따라 10 년물 기준으로 0.5%를 상회할 경우 국채매입으로 금리 상승 압력을 완화시켜왔다. 하지만, 2022 년말 기준으로 일본은행이 전체 국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0%를 이미 상회하는 만큼 추가적인 개입은 일본 채권시장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특히, 회사채나 대출 등의 기준에 국채금리가 중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