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넷플릭스 신고가인 게시물 표시

넷플릭스(Netflix)신고가 기록, 국내 콘텐츠 제작사 전망

이미지
넷플릭스(Netflix) 신고가 기록 넷플릭스(Netflix) 주가는 YTD 기준 +42.4% 상승했다. 5월 말 본격적인 계정 공유를 제한하며 이후 4일 동안 미국 일평균 신규가입자는 7.3 만명을 기록했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다.  2분기 가입자 순증 컨센서스는 17만명으로 2분기부터 점진적으로 글로벌 전 지역으로 계정 공유 금지 도입을 적용하며 가입자 수 증가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넷플릭스(Netflix)의 계정 공유 금지 정책에 대해 상당히 부정적인데,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계정 공유 제한 정책에 응답자 73%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는 조사를 발표한 바 있다. 국내 콘텐츠 제작사, 힘들었던 상반기 작년 하반기부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로 TV 광고 집행이 축소되기 시작했고, 올해 상반기는 최근 5년 내 가장 어려운 시기였다. TV 광고는 방송사들의 주요한 수익이고, 콘텐츠 제작 재원이기 때문에 방송사뿐만 아니라 콘텐츠를 공급하는 제작사에게도 상당히 중요하다.  이에 상반기 제작에 들어갈 예정이었던 콘텐츠 제작사들의 작품들은 캐스팅 불발, 계약 연기 등으로 제작이 미뤄졌고, 편성 예정이었던 작품도 방송사들의 슬랏 축소 영향으로 하반기로 미뤄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넷플릭스(Netflix)와 동조화되지 않는 국내 제작사 주가 이러한 어려운 환경 속에서 넷플릭스(Netflix)와 국내 제작사의 주가 동조화 현상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국내 제작사들은 OTT 들의 콘텐츠 투자 금액에 따라 실적 상방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넷플릭스(Netflix)의 향후 4년간 국내 콘텐츠 투자 금액은 3.3조원으로 단순 계산하며 매년 작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집행한다. 방송사 광고 수익 상황도 좋지 않은데다가 OTT 향 제작도 늘어나기는 쉽지 않아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작품 제작비를 감당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하반기에 주목할만한 기대작 많다 다만 긍정적인 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