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미국 주택시장인 게시물 표시

미국 주택시장 반등 이유와 향후 금리 인상 가능성

이미지
미국 주택시장 반등 조짐 미국 주택시장이 심상치 않다. 그간 연준의 통화긴축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며 급격히 위축되어 왔던 주택 지표들이 올 들어 광범위한 영역에서 개선의 흐름을 보이고 있다. 주택 지표 개선의 몇 가지 특징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NAHB 주택시장 지수 주택지표 중에서 가장 선행성을 띠는 건설업자 일감의 잣대인 NAHB 주택시장 지수는, 작년 12월 31에서 올해 6월 55로 불과 6개월 만에 확장 국면에 재진입했다. ② 허가 건수 증가 허가 건수 증가는 착공 건수 회복을 동반하고 있는데, 이는 그간 실적이 부진했던 단독주택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올해 1월 대비 5월 단독주택의 착공과 허가 건수는 각각 22%와 21% 늘어났다. ③ 가격 가격도 오르고 있다. S&P Global에서 집계하는 Case-shiller 전미 주택 가격 지수는 작년 6월 이후 올해 1월까지 2.9% 하락했다. 2월부터 4월까지의 상승폭은 미미하지만, 3개월 연속 상승했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 ④ 신규 판매 증가 신규 단독 주택판매도 최근 3개월 연속 늘어났다. 5월의 경우 76.3만호로 1월과 2월 대비 20% 내외로 증가했다. 2022년 7월 저점(54.3만호)에 비하면 증가율은 41%에 달한다. 기존주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신규주택이 팔리고, 가격이 오르고, 건설활동이 회복되고 있다는 점만 본다면, 소비자들의 주택구매 의향 내지는 구매력 개선을 떠올릴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회복이 활발한 거래와 주택구입 능력 개선과는 분명한 거리가 보인다는 점이다. 연준의 금리 인상을 야기할까 일부에서는 연초 이후 나타나고 있는 주택 가격 반등과 임대료 실거래가 상승이 물가상승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기에 연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이 유발할 수 있는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잠재우기 위해 더욱 강력한 통화 긴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만 연준이 이에 맞춰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하지는 않을 것...

미국 주택시장 지수 발표, 주거비 인플레이션

이미지
미국 주택시장 회복세 지난해 부진했던 미국 주택경기가 올해 들어 반등 중이다. 착공/판매/주택 가격 모두 상승 전환했다. 모기지 금리가 고점 대비 소폭 하락했고, 병목현상도 완화되었다.  최근 주택가격이 반등했으나 주거비 인플레이션을 논할 단계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 주거비 상승세 둔화와 함께 Core 인플레이션 압력도 점차 완화될 전망이다. 회복세를 보이는 미국 주택시장 지난해 부진에 빠졌던 미국 주택시장이 올해 들어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5월 주택착공허가와 신규착공은 각각 전월비 +5.2%, +21.7% 급증했다. 신규주택 판매도 지난해 4분기부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주택가격은 최근 2개월 연속 상승세로 돌아섰다.  주택시장 반등의 이유를 몇 가지 들 수 있다. 먼저 첫 번째는 모기지 금리가 아직 높지만, 고점을 지났다는 점이다. 긴축 우려가 절정에 달했을 때 7%를 넘어섰던 모기지 금리는 올해 초 한 때 6% 초반까지 하락했다. 재고 부족이 주 원인 그러나 기저에는 재고부족이 자리하고 있다. 사실 미국의 주택재고 부족은 장기간 누적되어 왔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 주택 가격이 반등하는 속도에 비해 공급은 더디게 회복되었다. 이로 인해 팬데믹 이후 금리 하락, 재택 근무 증가가 불러온 수요 폭증에 대응이 어려웠다. 여기에 팬데믹 기간 역사적 저금리에 대규모 모기지 리파이낸싱이 발생하면서 기존에 집을 소유하고 있던 가구들은 이자 부담이 크게 낮아졌다. 당시에 2~3% 금리로 차입해 집을 샀던 가구들은 6% 금리 수준에서 새 집으로 이사갈 유인이 없는 것이다.  이는 최근 신규주택판매 반등에도 기존주택판매가 여전히 부진한 이유이다. 결국 당장 주택을 구매해야 하는 실수요자들은 울며 겨자먹기라도 신규 주택을 구매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주택 병목 현상 완화도 회복에 기여 주택 부문의 병목 현상이 완화되고 있는 점도 주택시장 회복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