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택시장 반등 이유와 향후 금리 인상 가능성
미국 주택시장 반등 조짐 미국 주택시장이 심상치 않다. 그간 연준의 통화긴축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며 급격히 위축되어 왔던 주택 지표들이 올 들어 광범위한 영역에서 개선의 흐름을 보이고 있다. 주택 지표 개선의 몇 가지 특징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NAHB 주택시장 지수 주택지표 중에서 가장 선행성을 띠는 건설업자 일감의 잣대인 NAHB 주택시장 지수는, 작년 12월 31에서 올해 6월 55로 불과 6개월 만에 확장 국면에 재진입했다. ② 허가 건수 증가 허가 건수 증가는 착공 건수 회복을 동반하고 있는데, 이는 그간 실적이 부진했던 단독주택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올해 1월 대비 5월 단독주택의 착공과 허가 건수는 각각 22%와 21% 늘어났다. ③ 가격 가격도 오르고 있다. S&P Global에서 집계하는 Case-shiller 전미 주택 가격 지수는 작년 6월 이후 올해 1월까지 2.9% 하락했다. 2월부터 4월까지의 상승폭은 미미하지만, 3개월 연속 상승했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 ④ 신규 판매 증가 신규 단독 주택판매도 최근 3개월 연속 늘어났다. 5월의 경우 76.3만호로 1월과 2월 대비 20% 내외로 증가했다. 2022년 7월 저점(54.3만호)에 비하면 증가율은 41%에 달한다. 기존주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신규주택이 팔리고, 가격이 오르고, 건설활동이 회복되고 있다는 점만 본다면, 소비자들의 주택구매 의향 내지는 구매력 개선을 떠올릴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회복이 활발한 거래와 주택구입 능력 개선과는 분명한 거리가 보인다는 점이다. 연준의 금리 인상을 야기할까 일부에서는 연초 이후 나타나고 있는 주택 가격 반등과 임대료 실거래가 상승이 물가상승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기에 연준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이 유발할 수 있는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잠재우기 위해 더욱 강력한 통화 긴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만 연준이 이에 맞춰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하지는 않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