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인도 경제 잠재력인 게시물 표시

인도 경제 성장 잠재력 발전 가능성과 한계점

이미지
미중 분쟁 격화로 새롭게 떠오르는 인도 경제 최근 미중분쟁이 중국의 미국 반도체 기업 조사 등으로 가열되면서 세계 GDP 3위인 인도를 중심으로 탈 중국 흐름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예상이 증가하고 있다. 인도는 금년 1월 미국과의 전자, 반도체 관련 첨단기술 협의체를 구성하는 실리주의적인 모습을 보이며 미중분쟁 격화에 따른 이점을 적극적으로 취하며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과연 인도가 이러한 정치적 이점을 바탕으로 중국과 같은 고성장을 이룩할 수 있을까. 인도 경제의 현황과 성장 잠재력 인도의 GDP 규모는 '09년부터 일본을 제치고 글로벌 3위를 기록하고 있다. 1위(중국), 2위(미국)와의 격차는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인도는 탄탄한 인구구조와 적극적인 정책지원을 바탕으로 강한 성장을 하고 있기에 인도 경제는 더욱 성장세가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성장 잠재력 1 : 인구 작년 인구가 사상 최초로 줄어든 중국과 달리 인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UN과 OECD의 경제전망에 따르면 금년부터는 전체 인구가 중국을 추월하고 생산가능인구 비중 역시 2030년 역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인도는 중위 연령이 29세로 국가 중 가장 젊은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과 월별 평균임금이 중국의 20% 수준에 불과하다는 강한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성장 잠재력 2 : 견조한 경제 오름세 인도의 경제 성장률은 풍부한 노동력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2015년부터 지속적으로 중국의 성장률을 상회하고 있다. 블룸버그가 전망한 인도의 경제성장률은 향후 6% 대로 여전히 견조함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높은 성장세에 따라 기업들의 직접투자 자금이 인도로 몰리면서 2021년 외국인직접투자는 역대 최대인 848억 달러를 기록했다. 성장 잠재력 3 :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 인도의 GDP 대비 제조업 비중은 중국의 절반 수준으로 잠재력이 충분하며 정부도 지난 10년간 제조업을 성장동력으로 지속적으로 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