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중국 경제인 게시물 표시

중국 경제 부진 여전, 내수 악순환에 빠졌다. 반등 가능성 검토

이미지
중국 경제 부진 중국 경제 흐름이 예상보다도 부진했다. 2분기 GDP 성장률이 시장 예상치(5.1%)를 대폭 하회하는 전년동기 4.7%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1~2분기 누적 GDP 성장률도 5.0%로 시장 예상치인 5.2%를 하회했다. 상반기 GDP성장률이 정부 목표치인 5%를 가까스로 맞추었지만 최근 중국 경제지표 흐름을 보면 하반기 경기 반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이다.  무엇보다 우려했던 것보다 중국 내수 침체 현상이 심각해 보인다. ‘부동산 경기 장기 침체 → 고용시장 악화 → 소비 둔화’라는 소위 내수 경기 악순환에 빠진 듯한 모습이다. 소매판매 둔화와 부동산 장기침체 6월 중국 소매판매증가율은 전년동월 2.0%(1~6월 누적기준 증가율 3.7%)에 그쳤다. 각종 내수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소매판매 증가율이 2%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은 사실상 경기침체 수준의 증가율이 아닌가 싶다.  소매판매 부진의 가장 큰 원인은 전문가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부동산 경기 장기침체와 고용시장 부진이 직접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6월 중국 대도시 주택가격은 전월대비 0.67% 하락하면서 13개월 연속 하락했다. 주택가격뿐만 아니라 부동산투자 및 주택매매 감소세도 이어지는 등 부동산 경기가 장기 침체 국면에 진입했다. 쉽지 않은 고용시장 부동산 경기 장기 침체와 더불어 중국 경제, 특히 내수 경기의 가장 큰 걸림돌은 고용시장이다. 중국 고용시장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중국 신규 고용창출 및 고용의 질이 나빠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학생을 제외한 청년실업률의 경우 4월 기준 14.7%로 지난해 12월 14.9%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더욱이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선전시의 실업자 수가 최근 급증하고 있다는 보도는 중국 고용시장 악화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여기에 고용 질도 악화되고 있다. 중국 내 ‘긱 워커(Gig Worker: 초단기 노동자)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