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비 증가 추세 지속, 증시 상승 견인
미국 소매판매 2개월 연속 증가 5월 미국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0.3%로 예상치(-0.1%)를 상회하며 완만한 증가세를 이어갔다. 전년 동월대비로는 +1.6%로 2020년 5월 이후 가장 낮은 성장세를 보였다. 자동차와 휘발유를 제외한 소매판매는 전월 +0.5%에서 0.4%로 소폭 둔화되었으나, 예상치(-0.1%0는 크게 상회했다. 물가상승세(5월 CPI 전월대비 +0.1%)를 감안할 경우 실질 소비는 오히려 전월에 비해 증가폭이 확대되었다. 항목별로 차별화 확대 항목별로는 자동차 및 부품과 건축자재 및 정원이 각각 MoM +1.4%, +2.2%로 큰 폭 반등을 보였다. 전자제품 및 컴퓨터와 가구는 각각 4개월 만에 소폭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둘 다 전년대비로는 3개월 연속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음식점과 주점 판매가 +0.4%로 상승폭을 키우면서 서비스 소비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반면, 주유소 판매는 휘발유 가격 하락 영향으로 -2.6%로 큰 폭 감소한 가운데, 전월 크게 늘었던 잡화 판매가 다시 감소 전환하는 모습을 보였다. 가계 구매력 유지 초과저축이 계속 줄어들고 있지만, 강한 고용시장과 인플레이션 둔화에 따른 실질 임금 증가로 가계의 소비지출이 여전히 견고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4~5월 휘발유 가격이 낮은 수준을 지속하면서 소비자의 실질 구매력이 개선됨에 따라 일부 품목들의 소비가 소폭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저축을 하기보다는 증가한 가처분 소득이 추가적인 소비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이는 가계가 현재와 같이 견조한 고용시장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실질 소득이 장기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된다. 이런 상황 속에서 소비가 쉽게 꺾이기는 어려워 보이며 경기 역시 예상대비 느린 둔화 국면을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가격 민감성은 높아져 다만, 소비자의 가격 민감성은 점차 높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