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원 환율 급락, 장중 800원대 배경과 환율 전망
엔/원 환율 장중 800원대 하락 100 엔당 원화 환율이 6.19일 기준 장중 897원까지 하락한 이후 900원 내외에서 등락을 보이고 있다. 100 엔/원 환율이 800원대까지 하락한 것은 2015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엔/원 환율이 빠르게 하락한 데에는 달러 대비 엔화가 약세를 보인 반면 원화는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인 것에 기인한다. 차별화된 엔화와 원화 가치 6월 FOMC 이후 엔화는 달러 대비 추가로 약세가 진행되며 5월 초 대비 3% 이상 절하되었다. 최근 엔화의 약세 배경을 살펴보면 미국과 일본과의 통화정책, 금리 차별화가 다시 부각된 데 기인하고 있다. 일본은행은 6월 통화정책 회의에서도 초완화적인 정책을 유지하였고 이를 반영한 시장금리는 추가로 하락했다. 오히려 미국 연준은 6월 FOMC 에서 금리를 동결했지만 점도표 상향 조정과 매파적 기자회견으로 긴축 행보 유지를 보이고 있다. 반면, 원화는 6월 FOMC 이후 소폭 반등하기는 했지만 5월 초 1,340원 내외에서 움직이던 흐름과 비교할 때 60원 이상 하락했다. 원화가 달러대비 강세를 보인 이유는 반도체 수출 회복 기대 속 무역적자 폭 축소 전망과 외국인의 증시 자금 유입 등에 주로 기인한다. 한국 기준금리 동결에 따른 한미 금리차 확대라는 원화 약세요인에도 펀더멘털 개선에 대한 기대 등이 외국인 자금 유입으로 이어져 지속적인 강세를 보이고 있다. 역사적인 엔/원 하락 지난 20년 동안 100엔당 원화 환율이 800원대로 하락한 구간은 2005~2007년과 2015년 두 차례 정도이다. 두 번 모두 엔/원 하락 배경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2005년~2007년에는 연준의 금리 인상기에도 원화 강세가 가파르게 진행되며 엔/원 환율의 하락 압력이 강했던 구간이나 2015년에는 원화와 엔화 모두 약세를 보이지만 엔화의 약세가 더 가파르게 진행되면서 엔/원 환율이 하락했다는 차이점이 있다. 100 엔/원 환율 반등 전망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