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외국인 반도체 매수인 게시물 표시

외국인 반도체 순매수 주춤, 외국인 순매수 늘어난 섹터는?

이미지
외국인 반도체 편애 7월들어 국내 증시는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외국인 역시 최근 2개월간 순매도 포지션으로 돌아섰다. 글머에도 외국인 투자자들의 반도체 편애는 이어지고 있다.  올해 외국인 투자자들은 거래소 시장에서 매수 우위를 약 12.2조원 보였는데, 반도체(14조 원)을 제외하면 1.7조 순매도 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매수 매도 패턴은 무엇을 의미할까 반도체 편애, 2014년과 2019년에도 유사 외국인 투자자들의 반도체 편식은 과거에도 있었다. 2013~2014년과 2019년이 그랬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매수우위를 보였으나, 반도체를 제외하면 매도우위였다. 2023년 올해가 훨씬 그 강도가 심하기는 하다.  그런데 외국인 투자자들이 반도체를 순매수했던 과거 두 차례를 보면 삼성전자의 주가는 그다지 강하지 못했다. 유럽 재정위기, 미중 무역분쟁 이후로 불확실성이 높았던 시기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주가는 그 다음에 상승했다.  이에 삼성전자 주가와 삼성전자에 대한 외국인 순매수 간에는 (-)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업황이 개선되기 전에 매수를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반도체보다 현대차, LG전자 더 샀다. 하나 더 주목할 점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시가총액 기준으로 삼성전자보다 더 매수 강도가 높았던 종목들이 별로 없다는 사실이다. 시가총액 50위 종목들 내에서 올해 외국인 투자자들은 현대차, LG전자를 삼성전자보다 더 강하게 순매수했다.  반대로 POSCO 홀딩스, 에코프로 등 2차전지와 KT, SKT 등 경기 방어적 업종을 강하게 매도했다. 최근 조정과 함께 변화된 조짐 최근 주가 조정과 함께 주목할만한 변화의 조짐이 있다. 우선 올해 처음으로 2개월 연속 매도 우위로 돌아섰다. 다음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이 순매수하는 업종이 지난 6개월 동안 많이 매도했던 업종들을 오히려 순매수하고 있다.  7월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