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 증시 부진 지속 원인과 향후 전망
중국 경기 모멘텀 둔화 5월 중화권 주요 지수 수익률은 상해종합 -3.6%, H지수 -8.0%로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 리오프닝에도 경기 회복 강도가 기대감을 밑돌고 있기 때문이다. 4월 주요 경기동행지표 및 제조업 PMI도 위축 국면을 이어가고 있으며 소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고용 역시 개선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 경기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는 부동산 경기도 뚜렷한 상향 추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중에 위안화의 가치는 지속적으로 절하되는 상황이다. 중국의 경기 부진 이유와 향후 전망에 대해 살펴보자. 뚜렷한 실물 경기 둔화 지난 5월 발표된 4월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는 경제 재개방 본격화에 작년 상하이 봉쇄에 따른 기저효과도 가세하면서 크게 반등하기는 하였으나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는 못하는 수준이었고 생산 등 일부 지표는 예상치를 하회했다. 소비는 요식업 등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문제가 되는 것은 생산관련 지표들이다. 산업생산 증가율은 자동차, 가전제품 등 주력 수출품을 위주로 견조한 제조업 생산(+6.2%)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예상치(+10.9%)를 크게 하회했다. 5월 제조업 PMI도 48.8(예상 49.5)를 기록하며 2개월 연속 위축 국면을 이어갔다.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은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부동산 부문의 부진으로 소폭 둔화하였다. 생산자 물가 상승률도 유가 하락 등으로 7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이어가고 있다. 지속되는 위안화 절하 위안화의 가치도 급격히 절하되는 모습이다. 지난 5월 19일 인민은행이 위안화 고시환율을 7.0356 위안으로 고시하며 심리적 지지선인 7위안이 무너졌다. 이어 30일에는 역외시장에서 7.1 위안까지 돌파했다. 최근 달러인덱스 강세에 따른 영향도 있겠으나 근본적인 원인은 경기 회복 둔화에 기인한다. 이에 당국은 위안화 환율의 급격한 변동을 좌시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내비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