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스테이블 코인인 게시물 표시

스테이블 코인의 개념과 종류, 특징 및 용도

이미지
스테이블 코인의 개념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스테이블 코인이란 가치가 법화나 자산 간의 교환 비율을 고정한 디지털 화폐를 의미한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스테이블 코인은 대부분 미국 달러와의 교환 비율을 1:1로 고정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환 비율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스테이블 코인의 핵심이다. 예를 들어 현재 스테이블 코인 중 시가총액이 가장 큰 테더(Tether)는 백서에서 준비금 증명(Proof of Reserve, POR) 방식을 통해 교환 비율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비트코인과 같은 전통적인 가상자산의 경우 법정화폐로 표기되는 가치의 변동성이 매우 큰 반면, 스테이블 코인은 가상자산 대비 변동성이 매우 낮다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는 크게 담보의 유무를 기준으로 담보형과 알고리즘형으로 나눌 수 있고,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은 담보의 종류에 따라 다시 구분된다. 법화를 담보로 하는 경우 법화 담보형, 가상자산을 담보 로 하는 경우 가상자산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이라고 한다. 2023년 7월 현재 CoinMarketCap 기준 등록되어 있는 스테이블 코인의 수는 147개에 달하지만, 그 중 시가총액이 1조원을 넘는 코인은 총 5개이고 모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이다. 5개 모두 달러에 페깅되어 있으며, 5개 중 4개는 법화 담보형, 1개는 가상자산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이다. 유형별 스테이블 코인 특징 ① 법화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법화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은 법화 외에도 국채나 회사채와 같은 전통적인 유가증권을 준비금으로 보유해 가치를 고정한다 . 가장 대표적인 스테이블 코인인 테더(USDT)의 2023년 3월 말 기준 준비금을 살펴보면 80% 이상이 미 국채, 역레포 등과 같은 현금 및 현금 등가물과 기타 단기 예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 귀금속, 비트코인 등도 담보 자산으로 보유 중이다. USDC의 경우 준비금의 80%는 미국 단기 국채로, 20%는 은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