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대인플레이션 장단기 차이의 의미와 평가
장단기 기대인플레이션 최근 미국의 가계와 기업 및 금융시장에 반영된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이 하향 안정화되고 있는 반며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서베이 기반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은 22년 6월 이후 하락세가 지속되며 고점 대비 2%p 이상 낮아졌으나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은 큰 변동 없이 고점을 유지하고 있다. 기대인플레이션이란 기대인플레이션은 말 그대로 경제주체가 예상하는 미래의 물가상승률을 의미한다. 이를 브레이크이븐 레이트(Breakeven Inflation Rate)라고도 하는데, 미국의 일반 국채와 인플레이션 연동 미국 국채간 수익률 격차를 나타내는 수치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선행지표라고 볼 수 있다. 기대인플레이션이 올랐다면 이는 채권 매매자들이 향후 물가상승률이 오를 것이라는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미국의 기대인플레이션은 연준의 고강도 긴축과 에너지 비용 하락 등을 반영하여 3월 이후 단기는 하락, 장기는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경제전문가(서베이) 및 종합지수 필라델피아 연은은 채권간의 수익률 차이로 계산하는 방법과는 다르게 가계, 기업, 경제전문가들에 대한 서베이를 통해 기대인플레이션을 조사해오고 있다. 이는 실제 미국 국민들이 체감하는 기대인플레이션에 더욱 가까운 수치라고 볼 수 있다. 필라델피아 연은이 조사한 전문가 기대인플레이션은 장단기 모두 전년 고점보다 크게 낮아진 수준이다. 이외에 연준이 집계하는 가계, 금융시장, 전문가 등의 종합 인플레이션 기대도 존재하는데, 역시 22년 2분기 집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한 후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 평가 ① : 단기 기대 인플레이션 안정화 통화긴축 영향과 함께 변동성이 높은 에너지, 식품, 일부 상품 물가 항목이 작년 6월 이후 디스인플레이션을 견인하면서 단기 기대인플레이션 하락에 기여했다. 팬데믹과 러우전쟁 충격으로 발생했던 상품가격 급등 및 공급 부족이 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