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당 가격 추이와 향후 국제원당 가격 전망

국제원당 가격 현황 국제원당 선물가격(ICE)은 작년 12월부터 하락세로 전환하였으며, 최근에는 파운드 당 20센트 내외에서 등락하고 있다. 작년 11월 엘니뇨에 따른 주요 아시아 생산국의 작황 부진으로 파운드 당 28센트에 근접하며 `11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상승한 후 최대 생산국인 브라질의 생산 호조로 12월부터 하락 추세로 전환했다. 연초 일시적으로 반등하였으나 다시 하락세를 재개하면서 5월 중순에는 18.13센트로 연저점 기록했다. 최근에는 20센트대로 소폭 상승했다. 원당은 거의 모든 가공식품에 첨가제로 활용되는 기초 식재료로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앞으로의 수급 여건과 리스크 요인을 점검하고자 한다. 국제원당 가격 결정 요인 점검 작년 엘니뇨에 따른 고온건조한 날씨로 부진했던 주요 아시아 생산국의 작황이 금년에는 개선되면서 글로벌 원당 수급여건도 양호할 전망이다. 생산 측면 최대 원당 생산국인 브라질의 생산 감소에도 인도ㆍ태국ㆍ멕시코 등에서의 생산이 회복되면서 전체 생산은 1.86억톤으로 전년 대비 1.4% 증가할 전망이다. 브라질의 `24/`25년 건조한 날씨로 사탕수수 수확량이 전년대비 8.5% 감소하고, 원당 생산은 150만톤(-3.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브라질 사탕수수의 원당 가공 비중이 `23년 49%로 12년래 최고치를 기록한 데 이어 `24년에는 51%로 추가 상승하면서 원당 생산 감소폭이 사탕수수 감소폭을 하회할 전망이다. 태국(+144.5만톤, +16.4%), 인도(+50만톤, +1.5%), 멕시코(+57.2만톤, +11.6%) 등은 기상여건 개선, 재배면적 증가로 원당 생산량 및 품질 모두 회복될 전망이다. 수출 측면 글로벌 원당 수출은 전반적으로 부진할 전망이다. 5대 수출국(글로벌 원당 수출의 80% 차지, 브라질ㆍ태국ㆍ인도ㆍ호주ㆍ과테말라) 중에서는 호주만이 유일하게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브라질에서는 원당 생산 감소에 따라 수출이 동반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인도와 과테말라에서는 정책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