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미국 경제 위험요인인 게시물 표시

미국 경제 잠재적 위험 요인 3가지(경기침체, 은행위기, 부동산)

이미지
미국 경제의 3대 위험요인 미국 경제는 경착륙, 연착륙 전망을 넘어 강한 고용과 소비를 바탕으로 노랜딩 시나리오 전망까지 떠오르고 있다. 미국 경제가 강한 침체를 겪지 않고 나아가기 위해서는 미국 내 잠재해있는 리스크 요인들이 실제 위험으로 확산되지 않아야 한다. 이에 현재 상대적으로 위험이 부각될 가능성이 높은 경기침체, 은행위기, 상업용 부동산 위험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미국 경기 하강 심화에 따른 침체 진입 여부 미국 경제에 대한 시장의 다수 시나리오는 투자 하강으로 인해 1개 분기 정도 GDP가 전분기대비 역성장하는 수준인 연착륙 시나리오이다. 경기 확장이 멈추어 사전적인 NBER의 리세션 범주에 해당하려면 GDP 말고도 산업생산, 제조업/도소매 판매, 소득/소비/고용 지표가 일제히 뒷걸음질을 쳐야 한다. 하지만 현재 미국의 소비지표와 강한 고용시장을 보았을 때 실질 구매력이 유지될 것을 고려한다면 투자 하강 대비 소비 위축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투자 감소로 노동시장이 위축되면서 고용조정이 발생해야 비로소 광범위한 경기 위축이자 리세션이 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계절조정 실업률은 3.7%로 노동시장 부진과는 분명 거리가 있다. 다만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타이트한 노동시장도 리세션 앞에서는 무기력하다는 증거들이 여럿 있다. 1953년과 1969년, 그리고 2019년의 구인건수/실업자수 배율은 1.2배를 넘어섰지만 각기 다른 이유로 리세션이 찾아왔고 구인건수는 급감 했다. 따라서 현재 노동시장 호황이 미국 경제가 리세션으로부터 자유롭다는 근거가 되지는 못한다. 그럼에도 고용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 고용 조정의 발생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하는 첫 번째 이유는 금융위기 이후 추세에 미달하고 있는 서비스부문의 취업자수이다. 현재 고용조정이 나타나는 금융/IT와 달리 대면서비스업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채용한 적이 없는 사업장도 많다. 애초에 고용을 하지 않은 사람을 해고할 수 없다는 말로 요약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