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엔/달러 전망, 엔화 충분히 절하됐다.
엔화, 절하될 만큼 절하됐다. 2023년 3월 FOMC 이후 엔/달러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3월 FOMC 직후인 3월 24일 130.73엔에서 6월 23일 현재 143.7엔까지 9% 절하되었다. 같은 기간 달러 인덱스는 등락을 반복하기는 했으나 103.12에서 102.90 까지 0.2% 하락했다. 달러 인덱스와 차별화되는 움직임이다. 엔화 절하된 이유 엔화 절하 이유는 수 차례 언급한 바 있다. 주요국 인상 사이클과 차별화되는 무제한적 양적완화 정책 때문이다. 연준을 중심으로 주요국 중앙은행은 2022년 이후 금리 인상을 지속하고 있으나, BOJ는 YCC 정책과 (-)금리를 고수했다. 그러나 외환시장에서는 BOJ가 2022년 12월 회의에서 10년물 금리 변동 범위를 확대한 이후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경계감이 계속되고 있다. BOJ 정책회의마다 정책 변화가 없음을 확인 후 시장에서 엔화 절하폭이 확대되는 경향이 그 증거라고 볼 수 있겠다. 통화정책 변경 예상되는 이유 ① 물가상승률과 기대인플레 상승세 일본은행이 물가상승률 목표로 삼고 있는 Core CPI의 전년대비 상승률은 2022년 4월 이후 지속적으로 2%를 상회하고 있다. 에너지 CPI가 하락폭을 확대하고 있음에도 물가 상승 품목이 광범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신신식품과 에너지를 모두 제외할 경우 전년 대비 상승률은 하락세 없이 오름세만을 지속하고 있다. 기대인플레이션의 상승세도 지속중이다. 1Q23에 집계한 1년 후 기대 인플레이션은 2.8%이며 7월 초 발표될 2Q23 수치는 더욱 상향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BOJ 금융정책위원회의 결정문에서도 언급된 내용이다. 기업들의 행동 및 임금 결정 양상이 변화고 있음을 BOJ가 언급한 바 있다. ② 실질임금 하락폭 확대 높은 인플레이션과 맞물려 실질임금은 하락하고 있다. 이는 정치권 이슈와도 연관이 된다. 최근 일본 제1야당은 내각 불신임안을 제출했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물가 통제 미숙으로 인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