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미국 PMI인 게시물 표시

미국 고용과 PMI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이유

이미지
엇갈리는 미국 경제 지표 미국 경제는 소비가 확대되고 고용 사정은 견조한 모습을 유지하는 등 단단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ISM 제조업 지수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자 및 생산의 경우 다소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며 현재 미국 경기에 대한 온전한 판단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며 향후 미국 경기는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까 반대로가는 고용과 PMI 비농업 일자리 수는 다시 한 번 시장의 예상치를 뛰어넘었다. 비농업 부문의 일자리 수가 33.9만개 증가하면서 시장 컨센서스 18만개를 큰 폭으로 상회했다. 22년 1월 이후 비농업 일자리 수가 시장의 예상을 하회한 적은 3번 뿐이다. 그만큼 주요 기관들은 고용시장을 다소 얕보고 있었다. 다만 다른 세부적인 데이터는 여전히 고용시장이 식어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기에 낙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동시에 5월 ISM PMI 데이터는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예상치를 하회했다. 고용시장 컨센서스를 낮췄던 IB들이 큰 소리를 칠 기회를 주기라도 하듯 둔화 시그널을 강하게 보였다. 특히 제조업 PMI는 일반적으로 경기선행지표를 구성할 때 빼먹지 않는 단골 손님이다. PMI 추이는 시장이 경기 둔화에 대한 걱정을 하게 만드는 가장 큰 이유이다. 미국 경기 상황은 여러 지표들의 혼재로 인해 어떤 국면에 있는지 헷갈리게 만든다. 선행성을 가지는 PMI의 방향과 후행성 지표인 고용지표를 선행하는 세부 지표를 기준으로 본다면 하반기 미국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기우는 아니라고 판단된다. 고용 지표의 이면 비농업 일자리 수는 늘었지만 실업률은 상승했다. 실업률은 전달 3.39%에서 3.65%로 0.26%p 상승했다. 가계대상 서베이와 기업대상 서베이의 괴리가 유난히 컸기 때문이다. 경제활동참가율은 0.01%p 상승했으나 동시에 실업자가 늘어났다. 가계대상 서베이 상에서 취업자는 31만명 줄어든 것으로 집계되었다. 작년 10월과 11월 고용 데이터 이후 처음 확인되는 괴리이다. 선행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