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식시장이 부진한 이유, 강세론 vs 약세론 비교
최근 중국 증시 부진 지속 중국 주식시장은 2022년 10월부터 반등하기 시작했으나, 리오프닝에 따른 경기 회복세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2023년 4월 이후 지속적인 약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주가종합지수와 비교해보면 중국의 금년도 증시 상승률은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리오프닝 기대로 금년 1월 5년래 최대 규모인 1,413억 위안을 순매수한 외국인은 4월과 5월에는 순매도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 주식시장 부진 이유 ① 성장 저점 통과 가장 중요한 것은 성장 잠재력이 하락하고 있다는 점이다. 제조업 지표 부진 등 경기회복 모멘텀이 예상을 하회해 중국 경제의 성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2분기 성장은 더욱 암울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불균형한 회복이 문제인데, 중국 경제는 서비스업 중심으로 회복하고 있으며 제조업 지표가 부진하다. 글로벌 경제가 둔화되면서 수출까지 감소하며 더욱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다수의 투자은행들은 경제지표 부진 등의 사유로 금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② 지정학적 갈등 심화 미중 갈등 장기화 속 미국 주도의 반도체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중국의 첨단기술 성장이 제약될 수 있다는 우려가 증대하고 있다. 미국과 더불어 네덜란드, 일본 등 선진 장비업체 보유국들도 대중국 반도체 장비 수출 제재에 동참했다. 팬데믹 이후 중국 10대 빅테크 기업들의 시가총액이 3,000억 달러 감소한 반면 미국 빅테크 경쟁사들의 시가총액은 5조 달러 증가하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③ 부동산 시장 부진 정부의 주된 수입원인 토지매각 수입 감소로 지방정부들의 재정지출 여력이 축소되면서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에 차질이 생길 소지가 발생하고 있다. 부동산 시장 부진이 경기회복의 가장 큰 걸림돌이며, 향후 발표될 단편적 대책만으로는 경기를 부양시키기에 어렵다. 주택 공급은 증가하는데 수요는 부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