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5월 PMI 발표 경제 부진 지속과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
중국 5월 PMI 발표,경기 부진 지속 5월 중국 PMI가 발표되었다. 제조업, 비제조업 모두 전월 대비 소폭 하락하며 리오프닝 이후 뚜렷한 경기 회복세를 지속하지 못하고 있다. 제조업 PMI 5월 중국의 제조업 PMI는 48.8로 4월(49.2)보다 하락하였으며, 23년 4월 이후 2개월 연속 기준치(50)를 하회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4월 49.3 > 5월 50.0)은 상승한 반면, 중기업(49.2 > 47.6) 및 소기업(49.0 > 47.9)는 부진이 심화되었다. 생산(50.2 > 49.6), 신규 주문(48.8 > 48.3), 고용(48.8 > 48.4) 및 원자재 재고(47.9 > 47.6) 등 주요 항목 대부분이 하락하였으며, 공급자 배송 시간만 50.3 에서 50.5로 소폭 개선되었다. 생산이 수요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생산지수와 신규주문지수간 차이는 소폭 축소되었다. 신규수출주문(47.6 > 47.2) 및 수입(48.9 > 48.6)도 전월보다 하락한 가운데, 23년 4월 이후 2개월 연속 기준치를 하회했다. 비제조업 PMI 5월 중국의 비제조업 PMI는 54.5로 4월(56.4)보다 하락하였으나, 23년 1월(54.4) 이후 5개월 연속 기준치(50)를 상회했다. 서비스업(4월 55.1 > 5월 53.8)은 노동절 연휴 효과로 철도, 항공운송, 숙박, 요식업 등을 중심으로 호조를 보였으나 부동산 관련 서비스는 부진하였으며, 건설업(63.9 > 58.2)도 전월보다는 하락하였다. 시장평가 및 향후전망 중국경제는 제조업 및 비제조업 PMI가 모두 전월 및 시장예상을 하회하면서 성장세 둔화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었다. 국내수요가 여전히 부진하고 해외수요도 약화되는 가운데 신규주문지수, 신규수출주문지수 및 생산지수가 모두 하락하였으며, 단기적으로 제조업 PMI가 강하게 반등할 가능성은 높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