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주식시장 신고가 경신 배경 및 전망

인도 주식시장 신고가 경신 인도 주식시장의 상승세가 이어진다. 집권여당(BJP) 단독 과반 실패로 총선 개표 일(6/4) NIFTY50은 5.9% 급락했으나 충격을 딛고 신고점 경신을 거듭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PSE(국영기업), 인프라, 에너지 등이 수익률 상위를 차지해 시장은 여전히 모디노믹스를 신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 갖는 고민은 ‘비싼데 더 갈 수 있을까?’로 귀결된다. 현재 NIFTY50 12MF P/E는 21.7배 로 역사적 고점(23배)까지 상승 여력은 남아있으나 분명 부담스러운 레벨이다. 하지만 지수 레벨을 결정하는 핵심 변수인 1) 이익(EPS), 2) 수급(SIP), 3) 금리 등이 공히 우호적인 환경에서 인도주식 비중을 축소할 유인은 크지 않다는 판단이다. 신고가 경신 배경 ① : 이익(EPS) 2분기 들어 (-)를 기록하던 이익수정비율은 최근 (+)로 전환했다. 12MF EPS 를 선행한다는 측면에서 3분기 이익모멘텀 강화를 시사한다. 견조한 내수경기가 이어지면서 25F EPS 추정치도 최근 상향 조정을 시작했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 된다면 연말까지 12MF EPS(현재 1,110p)는 25F 추정치(1,320p)와 갭을 축소하며 우상향할 공산이 크다. NIFTY50 주가지수와 12MF EPS는 장기간 동일한 궤적을 그려왔다. EPS 상승 흐름이 이어진다면 주식시장 방향성은 유효할 전망이다 신고가 경신 배경 ② : 수급(SIP) 인도 증시의 핵심 수급 주체는 개인과 이를 기반으로한 뮤추얼펀드다. 외국인 수급은 경기, 금융환경, 환율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유입과 이탈을 반복한다. 이와 달리 SIP(Systematic Investment Plan, 적립식투자계획)로 대변되는 로컬 수급은 지난 수년간 매월 순유입을 기록할 정도로 변동성이 매우 제한적이다. 지난 5 월 SIP 순유입액은 전년동월대비 41.7% 증가한 2,090.4억루피(약 3.5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