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완다그룹 파산 위기, 주요 내용 요약

중국 완다그룹, 달러화 채권 채무불이행 우려

7월 17일 중국 부동산 그룹인 다롄완다상업관리그릅은 7월 23일 만기도래하는 4억 달러 규모의 달러화 채권 원리금 중 절반 수준인 2억 달러 정도가 부족하다고 발표했다. 
다롄완다상업관리그룹은 부동산, 호텔, 테마파크, 쇼핑몰, 영화관 등을 경영하는 완다그룹내 부동산 관리 부문이다.

완다그룹 채무불이행과 시장의 우려

완다그룹 발행 채권은 중국내 16억 달러 수준으로 추정되며 해외에서는 18억 달러로 추정된다. 이 중 7월에 원금기준 4.8억 달러의 채권이 만기가 도래한다. 
완다그룹의 유동성 위기는 작년부터 시작되었는데, 5월 상해청산소에서 시장에 떠도는 분식과 모회사 대출 등의 정보가 거짓이라는 소명자료를 제출하는 등의 해프닝도 발생했다.

최근 홍콩거래소 상장(3차례 실패 후 4번째 추진)이 지연되며 부채 상환 우려가 재부상되었다. 완다상업관리그룹은 연말까지 기업공개(IPO) 실패시 투자자들에게 300억 위안을 바이백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는데 자금 여력에 대한 의구심이 시장에 확산되고 있다. 

신용평가사 신용등급도 일제히 하락

이달 초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와 피치는 자금사정 악화를 이유로 완다의 신용등급을 각각 B1에서 B3, B+에서 B-로 강등하고 부정적 관찰대상으로 등재했다. 

S&P 역시 상장 지연과 유동성 버퍼 약화를 이유로 BB-에서 B로 하향조정했다. 이에 완다그룹의 달러화 채권 가격은 지난 주 7월 14일 94.8센트에서 7월 17일 73.4센트로 급락했다.

완다그룹, 위기 헤쳐나가기 어렵다

완다그룹은 2021년 중국 부동산개발 기업 연쇄 부도 당시 위험을 피해갈 수 있었지만, 금번에는 규제 장벽과 자금조달 채널 등의 문제로 난관에 봉착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증권관리감독위원회는 공개 서한에서 완다그룹에게 회사 내부통제, 특수 관계인과의 거래, 재무제표 신뢰성과 관련한 추가 정보 등을 제공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 빠른 시일내에 상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완다그룹은 쇼핑몰 20개를 매각하려고 하지만 특정 프로젝트의 소유권을 일정기간 유지해야 하는 규제로 지방정부와의 협상이 필요하다. 3개의 쇼핑몰 매각에는 성공했지만 나머지에 대한 구매자를 찾는 일이 쉽지 않은 이유는 잠재 매수자도 부채 문제에 직면해있기 때문이다. 

pre-IPO 투자자와의 바이백 계약 연장도 필요하나 자금을 회수하려는 기관이 있어 난항을 겪고 있다.

완다그룹 위기 향후 전망

완다그룹의 유동성 악화는 중국 부동산 업계의 전반적 상황이 다시 악화되는 것으로 보기보다는 일부 업체들의 어려운 자금조달 상황의 연장선으로 판단하는 것이 옳아보인다. 

중국 경제가 2분기에 성장 모멘텀을 잃었다는 징후들이 드러나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부문의 침체가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향후 중국 정부가 광범위한 부양 조치보다는 부동산 부문 구제에 초점을 둔 조치들을 취할 가능성이 있다.

완다그룹이 실제로 디폴트할 경우 외화채권시장에서 투자자들의 안전자산선호는 더욱 강화될 수 있으며, 우량등급 채권들의 반사이익도 가능할 전망이다. 

아시아 정크본드의 주요 발행자였던 중국 부동산 기업의 연쇄부도로 고위험 채권(high yield) 시장은 활기를 잃었고, 중국의 부정적인 경기전망으로 문제는 더욱 악화되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부동산 PF 시장 구조와 동향, 부실 우려 리스크와 향후 전망

인도 경제 성장 잠재력 발전 가능성과 한계점

티메프 사태 발생 원인과 향후 규제 시나리오 및 수혜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