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헤즈볼라 선제 타격, 미국 반응과 향후 휴전에 미칠 영향
이스라엘-헤즈볼라 공격
이스라엘이 헤즈볼라에 대해 선제 타격을 가했다. 이스라엘은 8.25 새벽 레바논 남부 헤즈볼라 근거지에 대해 공습했다.
이스라엘군 대변인은 “헤즈볼라가 이스라엘을 향한 공격 준비를 탐지해 위협을 제거하기 위한 자기방어 행위로 타격했다”고 발표했다.
이스라엘-헤즈볼라 공격 동향
이스라엘은 8.25일 헤즈볼라에 대한 선제공격을 실시했으며 헤즈볼라도 맞보복을 했다.
이번 공격에 약 100대의 전투기가 참여했으며 1시간 30분간 최소 40여차례 공습이 이뤄졌다.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현지시각 06시부터 48시간동안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카츠 이스라엘 외교장관은 지상의 어떠한 움직임에도 대응하겠다고 발언했으나 전면전에는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이스라엘 네타냐후 총리는 긴급 안보내각회의를 소집했으며, 이스라엘과 북부지역 민간인 보호를 위해 어떠한 대응도 불사하겠다고 발표했다.
헤즈볼라의 공격에 대해 이스라엘 방공망이 대부분 요격했으며, 사상자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짐. 텔아비브 벤구리온 공항은 일시 운항 중단했으나 재개 예정이다.
이스라엘-헤즈볼라 공격 미국 반응
헤즈볼라는 지난 7.30일 고위 지휘관 푸아드 슈크르가 이스라엘 폭격으로 사망한데 대한 보복을 개시한다며 이스라엘 북부 11개 군사시설에 320여기의 로켓 및 드론 공격을 실시했다.
공격 후 헤즈볼라는 슈크르에 대한 “1단계” 보복이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발표했으며 나스랄라 헤즈볼라 지도자는 금일 자정경 이번 공격에 대해 TV 연설 예정이다.
미국 백악관 NSC 대변인은 미국의 이스라엘 방위권을 계속 지지하며 바이든 대통령이 이스라엘과 지속해서 소통하도록 지시했다고 발표했다.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은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장관과 통화로 이번 사태를 논의했다.
가자전쟁 휴전협상에 미칠 영향
미국, 이집트, 카이로 등 중재국들이 주도한 가자전쟁 휴전협상이 8.25일 일요일 카이로에서 재개될 예정이다.
이스라엘은 헤즈볼라 공격 이후에도 대표단이 이번 협상에 참석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하마스는 이번 협상 테이블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으나 협상 이후 중재국과 협의할 예정이다. 다만 일부 언론에서는 협상단이 참석하지 않을 것으로 보도했다.
이스라엘-헤즈볼라 공격 해외시각
이번 이스라엘과 헤즈볼라간 대규모 공격은 미국까지 끌어들이는 전면전을 유발시킬 위험이 존재한다.
이번 충돌은 헤즈볼라와 이란이 슈크르 지휘관 사망에 대해 복수를 천명하면서 수주 동안 이어진 긴장고조 속에서 발생했다.
반면 전면전으로 발전할 위험은 있지만 이스라엘, 헤즈볼라 모두 전면전은 피하려고 노력하고 있기에, 전면전 위험은 크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이번 충돌은 현재 이집트에서 진행 중인 휴전협상에 장애물로 부상할 가능성(WSJ, AP)이 있다.
이번 사태는 가자전쟁 휴전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져있는 상황 에서 발생해 긴장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스라엘-헤즈볼라 공격 평가
이번 충돌은 지난 7.31일 하마스 지도자 하니예 암살 전날인 7.30일 이스라엘이 헤즈볼라의 축구장 폭격에 대응한 레바논 공습에서 헤즈볼라 고위 지휘관 푸아드 슈크르가 사망한데 따른 보복과 관련된 공격이다.
헤즈볼라도 이번 공격이 슈크르 사망에 따른 보복임을 이례적으로 강조해 하마스 지도자 암살과 연관된 것이 아닌 공격임을 시사했다.
양측간 대규모 상호 공격으로 전면전으로의 확대 우려는 커졌으나 헤즈볼라는 “이번 1단계 공격이 끝났다고” 발표 하면서 악순환을 자제하려는 모습이다.
이스라엘도 최근 수 개월간 헤즈볼라에 대한 전면전을 공언하고 있으나 가자지구 전쟁 외에 “전선 확대”에 대한 부담, 국제사회의 압박으로 감행에 부담이 있다.
이번 이스라엘의 헤즈볼라 선제타격은 이란에 대해서도 언제든 사전 공격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8.4일 이스라엘 안보 내각 회의에서 이란의 공격 임박시 선제타격설도 논의된 바 있다.
이번 충돌이 진행중인 휴전 협상에는 또다른 걸림돌로 작용할 위험이 있다. 중재국의 압박으로 협상이 연장되고 있으나 휴전이 결렬될 경우 이란의 하마스 지도자 암살에 대한 보복이 추진될 가능성이 있다.
이스라엘-헤즈볼라간 2차적인 상호 공격 가능성, 휴전협상 교착 등을 고려시 앞으로도 상당한 수준의 긴장이 지속될 전망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