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증시 외국인 투자가 몰리는 이유 및 향후 전망

외국인투자자 일본 주식 순매수 증가

최근 일본 주가는 1990년 버블 붕괴이후 최고 수준으로 상승한 가운데, 외국인투자자가 일본 주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일본 주가(Topix)는 6월 9일 기준 2,224p로 1990.8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금년 들어 17.6% 상승하였으며, 특히 4월 이후 상승률은 11.0%로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외국인 투자자는 4월 이후 9주 연속 일본 주식을 순매수하였으며, 동 기간 중 순매수 규모는 4.5조엔 수준이다. 외국인이 월간 기준 2조엔 이상 2개월 연속 순매수한 것은 아베노믹스 시행 첫해인 13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외국인투자자 일본 주식 순매수 배경

외국인투자자의 일본주식 대규모 순매수 배경에는 주주친화정책 확대, 통화완화정책 수정 기대 약화, 기업실적 개선 등 크게 세 가지가 있다.

① 주주친화정책 확대

먼저 주주친화정책 확대 기대를 살펴보면, 도쿄 증권거래소가 기업가치 향상을 위한 기업들의 적극적인 조치를 촉구한 가운데 3월 결산 이후 다수의 상장기업이 배당 증액, 자사주 매입 등으로 호응했다. 증권거래소는 해외기업에 비해 지나치게 낮은 ROE와 PBR에 대해 지적했다. 
특히 지속적으로 PBR이 1배를 하회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경영개선 방안 공개를 강력히 요청했다. 금년 5월 자사주 매입을 발표한 기업수는 300개로 지난해 5월(221개)보다 35.7% 증가하였으며, 배당수익률(주당배당금/주가)은 금년 4월 2.33%로 지난해 4월(2.03%) 대비 상승했다.

② 완화적 통화정책 수정 기대 약화

일본은행의 4월 금융정책회의 이후 일본은행 새 지도부의 신중한 금융정책 운용 태도 등으로 시장의 완화정책 수정에 대한 관측이 크게 후퇴했다. 우에다 총재는 4월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리스크보다 졸속 긴축 정책으로 발생하는 리스크가 더 크다는 발언을 했다.
YCC 수정 등 일본은행이 주요 금융정책을 처음 변경하는 시기에 대한 예상 역시 당초 6월 회의에서 7월 회의로 이연되고 24년 이후가 될 것이라는 응답도 크게 증가했다. 이와 더불어 마이너스 금리 해제 시기도 24년 하반기 이후가 될 것이라는 응답이 52%에서 65%로 상승했다.

③ 일본 기업 실적 개선 기대

일본은행의 완화적 통화정책 지속 및 이에 따른 엔화 약세 등으로 일본 기업실적 개선에 대한 전망이 강화되었다. 코로나19 이후 제조업의 경상이익 증가율이 높은 가운데 주력 수출업종인 전자와 기계 업종의 주가 상승세가 뚜렷하다. 
한편 도매업종의 주가 상승률이 17개 업종 중 세 번째인데, 워런 버핏이 투자했다고 밝힌 5대 상사가 포함된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④ 앤데믹에 따른 경제회복 및 임금상승

이 세 가지 요인 외에도 포스트 코로나에 따른 펜트업 수요 확대 및 외국인 관광객 유입 등에 따른 경기회복 전망, 이례적으로 높은 임금협상 결과 등 일본 경제의 구조변화에 대한 기대 등도 주가 상승 및 외국인 투자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 

금년 1~4월 중 방일 외국인수는 674만명으로 코로나 이전의 60%를 상회 (‘19.1~4월 1,098만명)하여 관광객 유입 재개가 경제에 미칠 긍정적 영향에 대한 기대가 높아졌다. 
춘계임금협상 5차집계(5.10일) 결과 전체 임금상승률은 3.67%, 기본급 인상률은 2.14%로 지난해 2.10% 및 0.62%(동일시점 기준)를 큰 폭 상회하며 1993년(3.90%, 최종집계치)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외국인투자자 일본 주식 순매수 전망

외국인 투자자의 일본주식 순매수는 일본 기업의 기업가치 개선 노력 가시화 기대 및 기업실적 개선 전망 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배당 증액, 자사주 매입 등 주주친화정책 확대에 더해 단기적으로는 금년 7월 실적, 중기적으로는 ROE, PBR 등 기업가치의 실질적 개선 동반 여부 등이 추가적 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부동산 PF 시장 구조와 동향, 부실 우려 리스크와 향후 전망

인도 경제 성장 잠재력 발전 가능성과 한계점

티메프 사태 발생 원인과 향후 규제 시나리오 및 수혜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