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시장 부실 우려 지속 금융 당국이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우려와 관련해 전 금융권 차원의 PF 대주단을 출범시키며 정상화에 나선 가운데 증권 업계의 PF 대출 연체율은 여전히 위험 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업권별 부동산 PF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증권사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10.4%에 달했다. 시장에서는 부동산 PF 시장에 대한 깊은 우려가 팽배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동산 PF 시장의 구조와 현황, 현재 직면하는 리스크와 향후 전망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부동산 PF 시장의 구조 : 브릿지론과 본 PF 부동산 PF 시장은 금융기관이 취급하는 브릿지 론과 본 PF로 구성되어있다. 브릿지 론은 개발 사업 초기에 토지매입 등을 위해 시행사가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는 자금이며, 본PF는 인허가 등이 완료된 후 착공 시점에 대출 받는 자금으로 건물을 준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사업비를 조달하기 위한 절차이다. 브릿지 론의 경우 1년 내외의 단기 대출로 사업 부지의 미확보, 인허가 지연, 시공사 미확보 등으로 본 PF 확보에 실패하게 될 경우 대출을 받은 시행사의 원리금이 연체되며 부실화되기 때문에 대출을 해준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인허가 등이 완료되어 사실상 착공에는 문제 없는 본PF에 비해서는 리스크가 상당히 크다. 물론 본PF 역시 분양 리스크가 있기에 100% 안전하다고 보기에는 어렵지만 말이다. 부동산 PF 시장 동향 : 규모, 조달 범위, 대상 영역 모두 확대 부동산 개발시장의 호황으로 최근 5년 간 PF 대출은 2.1배로 급증했다. 특히, 비은행권의 부동산 PF 대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17년 말 대비 22년 9월 PF 대출 잔액은 은행이 1.8배 증가, 보험사 2배 증가, 저축은행 2.5배 증가, 여신전문회사 4.3배 증가로 비은행권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또한 PF 조달 범위가 넓어졌다. 과거에는 은행 중심으...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