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독점 규제 완화, 빅테크 주가 추가 상승 가능할까
빅테크 중심의 상승장 지속 상반기 미국 증시는 수익률 기준으로 성과가 나쁘지 않은 것처럼 보이지만, 1월과 2월 이후 흐름의 차별화가 뚜렷하다. 전반적인 증시 상승이 나타났던 것이 1월이라면 2월 이후 5월까지는 대형 기술주 중심의 차별화가 나타났다. FANG+ 지수가 S&P500과 NASDAQ을 크게 아웃퍼폼한 가운데 RUSSELL2000 지수의 YTD 수익률은 S&P500을 밑돌았다. 사실상 대형 기술주 이외 대부분 종목은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셈이다. 하반기 빅테크 중심 추세 계속될듯 하반기라고 상황이 바뀌기 보다는 상반기와 유사한 빅테크 위주의 증시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하반기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매크로 변수는 현재로서는 특별히 없어 보인다. 상반기 증시는 AI, 반도체 중심으로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기업의 실적 추정치 상향을 반영하며 상승했으며 빅테크 기업이 대부분이었다. 해당 하이테크 기술은 미국 정부가 중국과 기술 패권 분쟁에 있어서 정부 차원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기술들이다. 중국과 기술 패권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미국 정부의 움직임도 계속되고 있다. 2018년 미-중 분쟁 이후 다시 늘어나기 시작한 연방정부 R&D 예산은 2024 회계연도 예산안에서도 최고치를 경신했다. NSF 예산안에 나타난 주요 기술들에 대한 세부적인 투자 내용을 확인하면, AI에 대해 가장 많은 예산을 배정하고 있고, COVID 쇼티지 이후 부각된 반도체 공급망에 대한 투자 모멘텀이 가장 강하다. 빅테크 기업 아웃퍼폼의 배경에는 정부주도 투자도 자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경쟁 올해 초 두각을 나타낸 AI 기술의 경우에도 갑자기 등장한 기술이 아니다. 미국 정부는 알파고가 등장한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AI 기술력 선도를 위한 중장기 플랜을 구상했다. AI라는 개념이 오래되었음에도 수십 년 동안 기술이...